With All News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메뉴 닫기
  • 글작성
  • 방명록
  • 환경설정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부동산과 경제
      • IT 및 가전
      • 여행
      • 건강
  • 홈
  • 태그
부동산과 경제

2023년 주요 기준 중위소득 확인해보세요(50, 60, 65, 70, 72, 75, 80, 85, 100, 120, 150, 180, 190, 200, 300%)

오늘은 정부 지원금 신청 시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매년 중위소득 기준이 바뀌고 가구 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보셔야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지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. 아래 표에는 2023년 중위소득 기준, 가구 수, 중위 소득 당 주요 지원 사업을 총정리 해드리니 이 페이지는 저장해 두셨다가 필요할 때마다 열람해 보시기 바랍니다. 2023 기준 중위소득 및 주요 정부 사업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주요 정부 사업 중위소득 300% 6,233,676 10,368,465 13,304,448 16,202,892 18,992,064 21,683,943 중위소득 200% 4,155,784 6,912,310 ..

2023. 5. 1. 11:58
부동산과 경제

하나은행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해서 1440만원 받아가세요

일하는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경제활동 기반 제공 및 사회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를 모집합니다. 특히 청년을 위해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제도가 많은데 이번 사업도 최대 1,440만 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사업으로 꼭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5월 1일부터 시작되는데 급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바로 신청 사이트를 가시면 되겠습니다. 자세한 지원대상, 지원내용, 신청방법, 기타 유용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셔서 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!! 지원대상 지원대상은 아래와 같이 4가지 기준(가입연령, 근로/사업소득, 가구소득, 가구재산)을 충족해야 합니다. 기준이 복잡한 만큼 각 항목별로 꼼꼼히 확인해 보시기 바라며, 중위소득 50%, 100% 등의 기준은 아..

2023. 5. 1. 03:49
부동산과 경제

종합부동산세 질의 Top 10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사례를 통해 풀어보는 종합부동산세 질의 Top 10을 소개하고자 합니다. 본 내용은 국민들이 자주 묻는 종합부동산세 질의 및 답변 사례를 알기 쉽게 정리한 내용으로 국세청 부동산납세과에서 작성하였습니다. 종합부동산세 질의 TOP 10 1.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(6.1) 현재 조정대상지역이었으나, 고지서 발송 전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경우 적용 세율은? - 질문 : 제가 보유한 A, B 주택 소재지가 최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었는데, 이 경우에도 조정대상지역 2주택에 대한 중과세율이 적용되나요? - 답변 : 종합부동산세는 매년 과세기준일(6.1) 현재를 기준으로 주택 수 및 조정대상지역 여부를 판단하여 세율을 적용합니다. 따라서 귀하의 경우 과세기준일이 지난 후에 A, B 주택소..

2022. 11. 27. 02:17
부동산과 경제

11월 4주 건설/부동산 Weekly News

건설/부동산 Weekly News - "급매물만 팔려요".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절반 이상 하락했다. 올해 4분기 서울 아파트 2 가구 가운데 1가구는 하락 거래가 되었습니다. 올해 4분기 현재 전국 아파트 거래는 1,5540건으로 그중 직전 대비 5% 이상 대폭 하락한 거래 비율은 37.7%(5863건)로 집계되었습니다. (머니s) - 매달 대출이자만 330만원. “월급 고스란히 은행에”. 미국 등 주요국의 고강도 긴축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연 8% 돌파가 임박하면서 가계 빚 부담 가중. 특히 지난해 수억 원씩 대출을 받아 집을 산 '영끌'족의 경우 월급의 상당 부분을 은행 빚을 갚는 데 써야 하는 상황이 되면서 도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(세계일보) ..

2022. 11. 24. 00:38
부동산과 경제

'역전세난'의 원인과 주택시장 영향('역전세난'의 발생, 전세가격 급등, 주택 미분양)

오늘은 '역전세난'의 원인과 주택시장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역전세난'의 발생 o 최근, 금리가 높아지면서 전세 가격도 하락하고 있으나, 높아진 전세로 전세 수요가 실종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'역전세난'이 발생하고 있음 - 높아진 금리로 전세자금대출 부담이 높아짐에 따라,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전세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있음 - 이에 따라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세금 반환이 어려운 집주인이 늘어남과 동시에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도 증가하고 있음 o '역전세난'은 대규모 입주가 발생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나, 이번 '역전세난'은 높은 금리에 기인한 측면이 있음 - '역전세난'은 주택가격이 급락하면서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해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보증금..

2022. 11. 22. 23:10
부동산과 경제

현재 주택시장 현황 분석(금리 변화, 주택시장의 변화)

오늘은 현재 주택시장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. 금리 변화 o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, 이를 억제하기 위해 미 연준은 2022 3월부터 0.25%인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현재 4%까지 인상하였음 - 한국은행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서 기준금리를 종전 1.25%에서 0.5%까지 인하하였으나, 2020년 8월부터 기준금리 정상화를 추진하였음 - 2022년 들어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순차적으로 인상하여 현재 3% 수준까지 인상함 -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가 빠르게 높아져서 현재 5%에 이르고 있음 o 2023년 상반기까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,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..

2022. 11. 22. 02:07
  • «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»

공지사항

전체 카테고리
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부동산과 경제
    • IT 및 가전
    • 여행
    • 건강
애드센스 광고 영역
  • 최근 글
  • 최근 댓글

최근 글

최근댓글

태그

  • #금리인하
  • #금리인하비교
  • #2023중위소득
  • #내가살집
  • #로보락 S7
  • #부동산납세과
  • #주택시장
  • #이자절약
  • #전망과전략
  • #청년내임채움공제
  • #임차반환대출
  • #집사는법
  • #월세
  • #전세
  • #경제적자유
  • #11.10대책
  • #주택담보대출
  • #매매
  • #부동산
  • #특례보금자리론
  • #고급 로봇청소기
  • #정부지원금
  • #주택시장 변화
  • #집구하는법
  • #갤럭시S23울트라
  • #weekly news
  • #임장
  • #해외증시시황
  • #로보락 s8
  • #금리인상
MORE

전체 방문자

오늘
어제
전체

블로그 인기글

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© With All News All rights reserved. TistoryWhaleSkin3.4

티스토리툴바